보통 사랑니 안쪽에 미세하게 충치균은 누구에게나 있습니다. 문제는 이 충치 자체가 어금니 뿌리 부근에 파먹게 돼버리면 발치를 해야 하는 상황이 올 수도 있는데요. 오늘은 이 부분에 대해서 어떻게 대처해야 하는지에 대해서 순서를 알려드리도록 하겠습니다.
일단 충치는 전염이 되며, 사랑니부터 발치를 하시고 그 옆의 어금니 뿌리부근에 충치가 내려앉았는지 확인을 합니다.
충치가 생겼으면 둘 다 발치하고 임플란트를 하시는 것이 가장 깔끔합니다. 임플란트는 임플란트 그 자체가 존재하는 것만으로도 주변에 충치가 서식하지 않습니다.
안에 영구치가 존재하는 레진과 크라운과 결이 다릅니다. 먹을 먹이가 없는 곳에 충치는 서식하지도 증식하지도 않습니다. 치아의 옆으로 충치가 서식하지, 저 멀리 멀쩡한 치아가 있다고 해서 이동하는 방식은 아닙니다.
그래서 중간에 임플란트가 식립 되어 있다면 다른 영구치까지 충치의 예방 효과를 보여주게 되는 것이지요. 그러나 가격이 워낙 부담스럽기에 그냥 일반 크라운으로 진행하는 경우도 많습니다.
일반 크라운인 경우에는 처음에만 좋고 나중에는 조금 그렇습니다. 신경치료를 했기에 기본적으로 통증을 못 느끼며, 시간이 조금 지나게 되면 크라운 내부로 음식물이 끼게 되고 충치가 생기기 시작합니다.
결국 안에 있는 영구치 갉아먹고 옆치아로 정착하여 그 치아까지 썩게 만드는 결과를 만들어버리지요. 그래서 크라운으로 하는 경우에는 하나만 한 사람은 찾아보기가 어려운 게, 안에서 부패되어 충치가 생기면 다른 치아까지 치료받아야 하기 때문입니다.
두 가지의 치료 방법에 대해서 장점과 단점을 소개해드렸는데요. 해당 치료에 맞는 전문적인 치과는 알아서 직접 찾아보신 다음에, 치료 진행하시면 좋을 것 같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