고양이 hcm 대처법 총정리


고양이 HCM 같은 경우에는 길고양이들에게는 걸리기 어려운 병이지만, 특수한 토종 고양이인 경우에는 나타나기 쉬운 질환이기도 합니다. 그래서 가장 먼저 고양이를 키우실 때에는 유전자 검사를 받으신 후에 HCM에 대한 보험이 적용되는 보험을 가입해 놓으시는 게 좋습니다.

결론부터 말씀드리자면, 선천적으로 생기는 경우가 거의 대부분이므로, 철저한 준비가 필요합니다. 후천적인 경우에는 운동부족 방향보다는 신체 리듬이 불규칙할 경우에 생겨나는 경우도 있어서,

주로 비만인 고양이들에게 많이 생기는 질병이기도 합니다. 어느 날 고양이가 뒷다리를 절뚝거리거나 떨림증상이 나타나면 HCM을 의심해 볼 수 있으며, 이러한 증상을 발견하면 즉시 동물병원에 방문하셔서 치료를 받으셔야 합니다.

이미 걸린 고양이라면 병원을 열 군데 정도는 알아보셔야 합니다. 그 이유는 HCM 같은 경우에는 평생 관리를 해줘야 하는 부분이므로, 약물 관리 및 합병증에 대한 예방까지도 같이 진행해야 되는 부분이기에, 해당 모종에 대해서 지식이 해박하고 경험이 풍부한 수의사를 만나야 합니다.

한번 방문하고 끝이 아니라는 점입니다. 그래야 다른 여타 고양이들처럼 멀쩡하게 건강을 유지하면서 생활이 가능하기에, 맨 처음에 조금 시간이 많이 걸리더라도 발품을 열심히 팔러 다니시면서 알아보셔야 합니다.

가장 쉬운 방법은 동네 주민 카페나 동네 어플을 이용하여 알아보는 방법이 있으며, 고양이 카페에 가셔서 소개를 받는 방향도 도움이 됩니다. 단, 광고성 글을 거르셔야 하는 것을 알아두시기 바라겠습니다.

반려동물 같은 경우에는 내부기관이 굉장히 작고 섬세하기 때문에 조금이라도 하자가 생기면 추가적인 합병증이 생길 가능성이 커집니다.

그래서 웬만하시면 처음부터 신경을 써주셔야 하며, 정기적인 검진은 필수이오니 이 점 참고하여 주시기 바랍니다.

앞에서 언급드렸던 유전자검사 및 보험은 필수 중에 필수이며, 미리 들어놓으시면 향후 시간과 비용적 소모를 대폭 줄일 수 있사오니 이 점 또한 참고하여 주시기 바랍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