오늘은 치아 틈새 메우기 방법과 때우기 방법의 비용과 효율성에 대해서 이야기를 해보며 해당 정보를 공유드리도록 하겠습니다. 충치가 생기면 어느 부분에 생기느냐에 따라 치료 방식이 달라집니다. 보통 외곽 부분에 충치가 생기는 경우에는 메우기 방법으로 진행하며, 가운데 충치가 생기는 경우에는 때우기 방법으로 진행하곤 합니다.
평균적인 비용은 둘 다 복합레진으로 치료를 진행하기에 평균 10~15만 원 정도 비용이 형성되며, 해당 치료에 대한 방향을 크라운으로 잡는 경우에는 다른 치과를 방문하시는 것이 좋습니다.
충치가 생성되는 부분 자체가 신경을 건드리지 않거나, 뿌리와 가까운 부분에 생기지 않는 경우에는 굳이 크라운 시술을 하실 필요가 없습니다. 복합레진 치료가 아닌 그냥 단순히 크라운 치료로 진행하는 경우에는 나중에 임플란트를 하는 시기가 빠르게 다가온다는 것만 알아두시기 바랍니다.
왜 크라운을 하면 안 될까요? 그 이유는 조금만 생각하면 쉽게 이해가 가는 부분입니다. 크라운 같은 경우에는 씌울 때는 외부의 음식물이나 이물질이 들어오지 않지만, 시간이 지남에 따라 잇몸이 붓거나 가라앉게 되면, 크라운 밑 부분의 틈이 발생하여 그곳을 통하여 들어가게 됩니다.
크라운을 하려면 거의 대부분은 신경치료도 해야 한다며 진행하는 이유가, 신경치료를 마치게 되면 안에서 썩어가는 영구치에 대한 통증을 느끼지 못하기 때문입니다. 그래서 크라운의 경우에는 아무 증상도 못 느끼다가 어느 날 덜컥 크라운이 탈락하게 되면, 재부착은커녕 임플란트를 해야 하는 상황이 발생하지요.
그래서 필자의 개인적인 생각으로는 복합레진 방향이 아니라면 크라운을 비 추천드립니다. 여기까지가 젊은 분들한해서 말씀드린 것이며, 만에 하나 중년 이후의 어르신들인 경우에는 그냥 발치를 하고 임플란트를 하는 것이 더 나은 방법이기도 합니다.
일단 치아에 충치가 한번 생성되기 시작하면, 레진과 크라운 이렇게 치료를 하게 되는데요. 이 과정 자체가 임플란트로 향하는 과정 중에 일부분이므로, 복합레진을 한다고 하더라도 틈새로 충치가 생기는 경우에는 이 또한 크라운과 같이 충치로 인하여 탈락하게 되고, 뿌리 부근까지 썩게 되면 결국엔 임플란트를 해야 합니다.
오늘의 결론을 다시 한번 안내드리자면, 제대로 관리를 하지 않는 경우에는 복합레진과 크라운 이 두 개의 도착지는 임플란트임을 인지하시고, 잇몸이 더더욱 약해지기 전에, 미리 임플란트를 식립 하여 치료를 진행하시는 것이 중장년층 입장에서는 가장 최선의 방향이오니 이 점 참고하여 주시기 바랍니다.